장애인지원사업
- 홈
- 사업소개
- 장애인지원사업
-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 운영
공유하기
URL복사
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 운영
-
사업기간
- 2025 .1.~12.
-
사업대상
- 의정부시 관내 성인 장애인
-
사업목적
- 장애인이 소외됨 없이 평생학습원을 보장받는 장애친화적 평생학습 체계 구축
-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통한 애인의 자립생활 및 사회참여 지원
장애인 평생학습도시란?
지역에 기반한 장애인 역량개발 지원 및 지역 중심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 기반 조성을 위해
국가가 시·군 및 자치구를 대상으로 ‘장애인 평생학습도시’를 지정하여
장애유형 및 정도에 따른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,
이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위해 이동·편의사항을 지원하는 사업
사업 목적
- 장애인이 소외됨 없이 평생학습권을 보장받는 장애친화적 평생학습 체계 구축
- 장애인의 특성과 수요가 반영된상향식 장애인 평생교육 풀뿌리 강화
법적 근거
평생교육법
- 제5조(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임무) 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모든 국민에게 평생교육 기회가 부여될 수 있도록 평생교육진흥정책을 수립·추진하여야 한다.
- 제15조의2(장애인 평생학습도시) ① 국가는 장애인의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특별자치시, 시·군 및 자치구를 대상으로 장애인 평생학습도시를 지정 및 지원할 수 있다.
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지정·운영
- 장애 유형 및 정도에 따른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위해 이동 등 편의사항을 지원
기반구축 |
|
|
|
|
---|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운영 |
|
|
|
운영내용
- 기반 구축
-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 협의체 구성·운영
- 장애인 평생교육 자료개발
- 관련 연수 운영
- 장애인 평생교육 DB 및 정보망 구축
- 프로그램 운영
- 장애 유형 및 정도에 따른 맞춤형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
- 장애인과 비장애인 통합프로그램 운영
- 중증 장애인을 위한 찾아가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
추진실적
- 의정부시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운영실적(2021~2023, 교육부 선정)
(단위:천원)
연도 | 총사업비 | 국비(국특원) | 시비(의정부시) | 사업 수 | 참여인원(장애인수) | 연계기관수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계 | 540,000 | 240,000 | 300,000 | 56개 | 2,501명(1,460명) | 54개 |
2021 | 200,000 | 100,000 | 100,000 | 21개 | 471명(353명) | 25개 |
2022 | 140,000 | 40,000 | 100,000 | 16개 | 1,104명(543명) | 16개 |
2023 | 200,000 | 100,000 | 100,000 | 19개 | 926명(564명) | 13개 |
- 장애인 평생학습 활성화 사업 추진(2024)
-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 운영 지속화를 위한 지정기부금을 활용한 장애인 평생학습 활성화 사업 추진
- 의정부시 최초 기부금 유치를 통해 운영한 장애인 대상 평생교육 사업으로 스마트팜 프로그램 「2024년 장애인 평생교육 우수사례」 선정 및 우수상 수상
(단위:천원)
기부자 | 기부액 | 장애인수 | 사업내용 |
---|---|---|---|
계 | 30,000 | 71명 | |
KG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| 20,000 | 32명 | 직업능력 (공예·원예/뚝딱공작소/스마트팜) |
경기도 소상공인연합회 | 7,000 | 10명 | 문화예술교육 (푸드테라피 집밥 공감식탁) |
금상이엔지 | 3,000 | 29명 | 체육 (장애인 생활체육 슐런) |
2025년 주요내용
- AI·디지털 : 장애유형과 정도를 고려한 디지털 취약계층인 장애인 디지털 정보화 수준 향상을 위한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
- 지역 특성화 : 지역 특성에 기반한 장애 유형별·수준별·정도별 맞춤형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장애인 학습자 요구에 따른 지원
- 찾아가는 평생학습 :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찾아가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통해 사각지대에 놓인 장애인 학습자 발굴